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썬룸시공시 이해하기 쉬운 건폐율과 용적률의 관계

by 친환경녹색건축 2020. 11. 18.

안녕하세요

썬룸과전원주택입니다.

 

오늘은 썬룸이야기 대신 건축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건축은 인류가 지속적으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인 주(住), 즉 건축인데요.

바로 이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 kanetaylor, 출처 Unsplash

 

아파트(Apartment)

요즘은 주택에 대해서 인식이 다변화되고 반드시 소유해야 한다는 생각 또한 많이 옅어진 듯 보입니다. 그러나 지금의 베이붐 세대(1955년 ~1964년 사이 출생한 세대, 전체인구의 약 14%)에게 있어서는 가족의 삶을 담을 수 있는 주택의 소유는 절체절명의 과제였던 것 같습니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 재산증식과 신분 상승의 상징이 되어 버렸습니다.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이 재산 증식의 방법으로 아파트를 소유하고자 합니다. 3.3제곱미터당 건축비가 고작 3~4백만 원이면 가능한 것을 수천만원에 거래하는 것은 아무리 학군과 도시 인프라의 인센티브를 고려해도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시간은 지금 이 순간도 흐르고 있습니다. 앞으로 지금 진행 중인 베이붐 세대가 은퇴를 완료하고 또 한 세대의 교체되기 시작하면서 베이붐 세대가 소유하고 있던 아파트는 시장에 물밀듯 쏟아질 것입니다. 초고층의 노후화된 주택은 사업성이 낮아 재건축 추진도 어렵고 고가의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는 사람들도 거의 없어 어느 순간 아파트를 소유한 것이 큰 고통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전원주택 (Country house)

울 근교의 한적한 시골마을을 지나다 보면 참으로 멋스럽고 예쁜 주택들이 쉽게 찾아 볼 수 있습니다. 농촌의 소득이 증가했던 은퇴 한 분들이 귀농(촌)을 하면서 새로이 집을 지었던 요즘 지어지는 많은 전원주택은 주거의 목적외에 디자인과 환경을 고려한 건축물 들이 점점 늘어나는 것 같아 보입니다.

작은 앞 마당이 딸린 전원주택을 선택하고 수천만 원의 비용을 들여 그 공간에 조경을 하고 디자인과 자재 선택에 많은 비용을 들이는 소비자 계층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요.

좀 더 아름답고, 편리하고 또 건강한 삶에 대한 인간적 욕구가 주택에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 썬룸과전원주택

 

@ 썬룸과전원주택

 

내가 살 주택을 선택하는 것은 각자가 선택해야 할 몫이지만 거주 공간은 분명 우리의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에는 분명합니다.

다음은,
썬룸 시공에 따른 건축법상 문제는 없는 것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평소에 상식으로 하나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
포스팅합니다. ^^

 

 

 

건축 상식

썬룸과 건폐율&용적률


 

 

폐율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건축면적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왼쪽 그림은 건물 위에서 내려다봤을 때 대지에 건물이 앉혀진 모습, 즉 대지면적에 대한 수평 투영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그림에서 B 부분)

건폐율 = { 건축면적(B) / 대지면적 (A) } * 100

대지면적이 200㎡라 하고 건축면적이 100㎡라 할 때 건폐율을 계산하면 (100/200) * 100 = 50%가 되는 것이죠.

건폐율에 대한 규정은 용도지역별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제72조)과 각 시도의 도시조례로 정하고 있는데요. 법정 한도 이내에서 각 시도가 정하는 조례 범위 내에서 건축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서울시내 2종일반주거지역 내에서 건물을 신축 또는 증축하려고 한다면 서울시도시계획조례 제54조제1항 제4호 규정에 의거 60% 범위 안에서 해야 건축해야 합니다.

그러면 용적률은 무엇일까요?

각 층의 바닥면적의 합계를 대지면적으로 나눠 백분율로 표시한 값입니다. 위 그림에서 봤을 때 B와 C를 합한 면적을 대지면적(A)으로 나눈, 즉 대지면적에 대한 각 층 바닥면적의 비율을 말합니다.

용적률 = { 각 층의 바닥면적 합(B + C) / 대지면적 (A) } * 100

대지면적이 200㎡라 하고 1층 바닥면적(B)을 150㎡, 2층 바닥면적(C)을 50㎡ 이라 할 때

용적률을 계산하면 {(100+50)/200} * 100 = 100%가 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 2종일반주거지역 내에서 건물을 신축 또는 증축하려고 한다면

서울시도시계획조례 제55조제1항 제4호 규정에 의거 용적률 200% 범위 안에서 해야 건축해야 합니다.

그러면, 썬룸을 시공할 때 건폐율과 용적률은 저촉 여부는 어떻게 판단할 수 있을까요?

 

 

@썬룸과전원주택

(경우 1) 그림에서 C 부분 즉 2층 데크 부분에 썬룸 시공으로 2층 바닥면적이

증가되는 경우입니다.

위에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2층 바닥면적이 증가하나 수평 투명 면적 내에서 증축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이 경우 건축면적과는 관계없고 전체 바닥면적이 증가하여 관할 시(군)구에 증축허가(또는 신고)를 득한 후 시공하면 됩니다. 통상 용적률은 100% 이상이기 때문에 3층 이하의 저층 주택에서 용적률 한도에 넘어 증축이 제한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도심지역에서 도로 폭에 의한 사선제한, 일조권 제한 등으로 증축이 제한될 수도 있습니다.

@썬룸과전원주택

(경우 2) 1층에 데크를 설치하고 썬룸을 설치하는 경우로 즉 건축면적과 바닥면적이 모두 증가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에는 지역별 용도에 따라서 건폐율과 용적률 규정이 맞는지 반드시 체크해 봐야 합니다. 특히 지방의 경우 지역의 용도에 따라 건폐율이 20%인 곳도 있으므로 자칫 이 규정을 위반하여 고발 또는 이행강제금 등의 불이익을 당할 수 있습니다. 건폐율과 용적률 규정에 맞을 경우, 위의 (경우 1)과 같이 관할 시(군)구에 증축허가 또는 신고를 득한 후 시공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